여수박람회는 2012년 5월12일 막을 올려 이후 석달동안 진행된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경제적인 효과는 가히 천문학적이다.
'여수의 꿈' 엑스포가 펼쳐질 공간은 여수신항 일원 174만㎡. 박람회장이 25만㎡, 엑스포타운이 54만㎡, 엑스포역 16만㎡, 환승주차장 44만㎡, 공원 등 35만㎡ 등이다.
104개국, 10개 국제기구, 7개 대기업, 23개 지방자치단체가 참가한다. 국제기구의 경우 당초 목표치인 5개를 넘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UN·IOC 등 10개 기구가 참가한다.
예상 관람객수는 국내와 해외를 합쳐 1080만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3개월간의 지구촌 최대 해양축제가 뿜어낼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효과만 전국적으로 12조3000억원. 총투자비의 6배에 이른다. 88년 서울올림픽의 2배가 넘고 사상 최대 효과를 누린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11조5000억원과도 맞먹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분석 결과, 여수엑스포는 1993년 대전엑스포 당시 생산 유발효과(3조1000억원)를 크게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992년 스페인 세비야, 2000년 독일 하노버, 2005년 일본 아이치 등 최근 10여년 사이에 열린 엑스포들의 경제적 파급효과도 얼추 10조원대 안팎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5조1500억원으로 42%를 차지하고, 수도권과 동남권도 각각 2조2400억원(18.3%)과 1조6863억원(13.8%)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부가가치 유발효과도 전남이 2조4200억원, 수도권이 1조1230억원, 동남권 7220억원 등 전국적으로 5조7200억원이 예상되고, 고용 유발효과도 개최지 프리미엄을 지닌 전남 3만3700여명을 포함해 전라권이 4만1271명으로 전체 52.4%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7만8800여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관람객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보다 3배 가량 많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수 국가산업단지와 율촌 지방산단 등을 빼고는 이렇다할 생산기반이 없는 전남과 여수로서는 경제적 도약대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엑스포를 발판 삼아 선진국으로 부상한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세계적 명소인 에펠탑이 세워진 1889년 파리박람회와 기술 강국 일본의 틀을 다진 1970년 오사카박람회가 대표적인 예다.
박람회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엑스포는 등록기간까지 포함하면 개최기간이 6개월에 가까워 올림픽, 월드컵 등 3대 국제 이벤트 가운데서도 홍보나 국가이미지 제고 효과가 가장 크다"고 말했다.
이어 "박람회 개최를 통해 한국은 경제지표상 2016년께면 세계 5대 해양강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고, 남해안 중심도시 여수가 세게적 해양도시로 발돋움하는 일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출처: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