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하철 정비용역 근무조건 열악
2009/03/16 00:00 입력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미투데이로 기사전송 다음요즘으로 기사전송
시민의안전과 직결된 인천지하철 차량정비분야의 용역회사가 바뀌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대량 계약해지 통보를 받자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     © 피플코리아 ◀
인천지하철 전동차 정비용역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지난 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보장을 요구했다.


이들은 최근 인천지하철공사가 모업체와 용역계약을 맺으면서 현재 차량정비 비정규직 노동자 90여명에게 계약해지가 통보된 상태라고 밝혔다.

지난 1999년 이후 10년간 차량정비 용역을 도맡아오던 U업체가 용역업체를 선정하는 공개입찰에 응하지 않으면서 정비용역업체가 바뀐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그동안 3조2교대로 밤샘근무를 하면서  "100만원이 되지 않는 저임금과 열악한 조건 속에 일했지만 졸지에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인천시와 인천지하철공사가 자신들의 고용승계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호소했다.


이와 관련, 인천지하철공사 관계자는 “합법적인 입찰에 의한 용역회사 변경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며 “고용승계와 같은 내용은 입찰 발주 내용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용역업체가 바뀌면서 숙련된 차량정비 인력이 대거 계약해지될 경우 1일 4만5천여명에 달하는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또한,비정규직 직원에 대한 재계약 기간이 경정비 분야와 중정비 분야 모두 종전 1년에서 각각 9개월과 10개월로 줄어들어 신분 불안도 더욱 커졌다.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1년 이하의 계약직 직원에게는 퇴직금 지급의무가 없다.


차량정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더욱 열악해진 근로조건은 더욱 잦은 비정규직 직원의 교체를 가져오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부실한 정비로 인해 안전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문제는 인천지하철공사의 인건비 예산이 삭감되면서 빚어졌다.


이 때문에 “용역회사가 예산범위에서 알아서 해야할 일”이라며 방관하는 인천지하철공사와 당초 예산심의과정에서 인건비 관련 예산을 삭감한 인천시, 인천시의회도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7년간 인천지하철 귤현기지에서 차량정비를 해왔다는 비정규직 A씨는 “적은 월급이나마 10년간 묵묵히 시민안전을 책임졌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내쫓기고 있다”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그저 지금과 똑같이 일만 하게 해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이승재기자  jncworld@empal.com>
[ 이승재기자 jncworld@empal.com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hsshss2927@hanmail.net
대한민국 대표 인물신문 - 피플코리아(www.peoplekorea.co.kr) - copyright ⓒ 피플코리아.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